전체 글19 [프로세스] 프로세스 연산 이번에는 프로세스의 생성과 복사에 대해 살펴보자. (1) 프로세스의 구조 프로세스는 정적 할당 영역인 코드 영역, 데이터 영역과 동적 할당 영역인 스택 영역과 힙 영역으로 구성 EX ) 스파게티를 만드는 과정에 비유 [코드 영역] 👉🏻 요리책 (레시피가 적힌 요리책처럼 코드 영역에 프로세스의 본문이 기술) 텍스트 영역이라고도 함. 프로그래머가 작성한 프로그램이 탑재되는 곳으로 탑재된 코드는 읽기전용으로 처리. [데이터 영역] 👉🏻 재료 코드가 실행되면서 사용하는 변수나 파일 등 각종 데이터를 모아놓은 곳으로 변하는 값이기 때문에 읽기와 쓰기가 가능. [스택 영역] 👉🏻 조리 도구 ( 코드를 작동하기 위해 운영체제가 부수적으로 관리하는 데이터 영역. 사용자에게는 스택의 내용이 보이지 않는다) 운영체제가 프.. 2021. 10. 2. [CNN] Convolution Neural Network 정리 발제를 위해 만들었던 ppt를 이용해 CNN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 자료는 앤드류응 교수님의 CNN 강의를 참고했다. Computer Vision and Deep learning 본격적인 내용에 들어가기에 앞서서 이제 이 CNN 이 어떻게 등장하게 되었는지 , 간단히 컴퓨터 비전을 통해서 한번 살펴보자. 이 컴퓨터 비전은 말그대로 컴퓨터가 사진이나 영상을 즉 이 미지 이용을 해서 하는 모든 것들을 일컫는 말이고 최근 딥러닝의 발전 영역에 있어서 가장 두각 을 나타내는 그러한 분야 중에 하나다. 이 컴퓨터 비전은 이제 얼굴인식이나 예술 등 분야를 가리지않고 다양한 곳에서 응용이 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주로 다루는 문제 세가지를 살펴보자. 첫 번째로 어떤 사진이 들어왔을 때 여기서는 고양이 사진을 예시로.. 2021. 9. 20. [NSLT] Neural Sign Language Translation based on Human Key point Estimation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키포인트 추정에 기반한 수화 번역 시스템을 제안한다. 컴퓨터 비전 분야의 많은 문제들은 깊은 신경망 모델을 훈련시키기 위해 엄청난 양의 데이터 세트를 필요로 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며, 수화 번역 문제에 있어서는 고품질의 교육데이터를 수집하기가 훨씬 어려워서 상황이 더욱 악화된다. 본 논문에서는 고해상도 및 품질의 11,578개의 동영상으로 구성된 KETIsign 언어 데이터 세트를 소개한다. -> 각 나라마다 수화의 차이가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KETIsign 언어 데이터셋은 한국어 수화 번역에 대한 후속 연구를 위한 출발점이 될 수 있다. KETI 수화 데이터셋을 이용 -> 얼굴, 손, 신체 부위에서 추출한 인간의 키포인트를 활용하여 수화 영상을 자연어 문.. 2021. 9. 16. [제 1장] 네트워크 기초 지식 (2) 1. 패킷 교환이란? 회선 교환을 생각해보면, 교환기가 ‘파이프’를 교체해 상대와 접속하는 동안에는 다른 곳으로 전화를 걸 수도 받을 수도 없는 ‘통화중’ 상태임. 즉 접속하는 동안에는 전화기와 교환기, 교환기와 교환기 사이의 회선은 그 통신이 점유, 즉 교환기 사이의 회선수가 많아야만 많은 수의 전화가 동시에 통화할 수 있음 다시 말해서 ‘동시 통화에 필요한 수 만큼 회선이 필요함’. 하지만 다수의 컴퓨터가 자유롭게 정보를 송수신하려면 이 방법으로는 회선의 수가 너무 많아짐 -> 이때 사용하는 것이 패킷 교환이라는 방법 패킷 교환이란, 송신하고 싶은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한번에 보내지 않고 여럿으로 분할해서 송신하는 건데, 이렇게 분할한 데이터를 ‘소포’라는 의미의 패킷(Packet)이라고 부름. 즉, .. 2021. 8. 13. 이전 1 2 3 4 5 다음